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선임인원 수 =3001,320=4.4 → 4명( 소소점 버림) ⇒ 일반적으로 1,000세대 이상인 아파트의 경우 4명의 소방안전관리보조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1,329세대 아파트에는 4명의 소방안전관리보조자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정답은 4명이다.
㉠ 선박( 항구에 메어둔 선박 제외) ㉡ 건축물 ㉢ 차량 ㉣ 인공 구조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대상물: 건축물, 차량, 선박( 항구에 메어둔 선박만 해당) ,선박 구조조물, 산림 그 밖의 인공 구조물 또는 물건을 말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화재 또는 구조 구급이 필요한 상황을 거짓으로 알린 사람에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알아 보기] ⇒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소방자동차의 출동에 지장을 준 자 * 소방활동구역을 출입한 사람 * 한국소방안전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①,②,③은 100만원 이하의 벌금, ④ 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하된다.
[ 보 기 ] 건축물의 구조상 주요 골격부분인 내리벽,기둥,바닥,보,지붕틀 및 주계단을 말하며 건축물의 안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주요구조부란 건축물의 구조상 주요 골격부분인 내력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을 말하며, 건축물의 안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보 기 ] * 무창층은 지상층 중 다음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의 면적의 함계의 해당 층의 바닥면적의 30분의 1 이하의 되는 층을 말한다. ㉠ 크기는 지름 30[cm] 이하의 원이 통과할 수 있을 것. ㉡ 해당 층의 바닥면적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1.2[m] 이내일 것. ㉢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항햔 것. ㉣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않을 것. ㉤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 수 없는 구조일 것.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무창층은 지상층 중 다음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의 면적의 함계의 해당 층의 바닥면적의 30분의 1 이하의 되는 층을 말한다. ㉠ 크기는 지름 50[cm] 이상의 원이 통과할 수 있을것. (×) ㉡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내일 것. (○) ㉢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 ㉣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않을 것. (○) ㉤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 수 있을 것.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시설, 소방용수시설 또는 소방출동로가 없는 지역을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할 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안전관리자 현황표에 작성할 내용" *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명칭 및 등급, 소방안전관리자의 성명,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일자 등이 기재된다.
[9~11] 다음 조건에 따라 문제를 푸시오. [조건] * 공동주택(아파트) * 자동화재탐지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보유 * 지상 8층, 지하 3층 * 높이35[m], 연면적 16,000[m²],500 세대 *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 2020년 3월 7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종합검진은 2021년 3월(사용승인일이 속하는 달)에, 작동점검은 종합점검을 받는 달부터 6개월 뒤인 2021년 9월에 시행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조 건 ] * 공동주택(아파트) * 자동화재탐지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보유 * 지상 8층, 지하 3층 * 높이35[m], 연면적 16,000[m²],500 세대 *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 2020년 3월 7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에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그 소방안전관리자가 강습 및 실무교육을 이수한 이력이 없다면 선임일로부터 6개월 이내(2020년 9월 6일)에 실무교육을 이수받아야 한다.
[ 조 건 ] * 공동주택(아파트) * 자동화재탐지설비, 스프링클러설비, 옥내소화전설비 보유 * 지상 8층, 지하 3층 * 높이35[m], 연면적 16,000[m²],500 세대 * 건축대상물 사용승인일: 2020년 3월 7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공동주택은 아파트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나 스프링클러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는 큰 규모의 아파트임. 주어진 조건에 따르면, 해당 소방대상물은 아파트로서 높이, 연면적, 설치된 소방설비 등을 고려할 때 2급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이 필요한 기준을 충족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시된 조건의 공동주택은 2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해당하므로, **2급 소방안전관리자를 반드시 선임해야 합니다.**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규제하는 위험물은 ( ㉠ ) 또는 ( ㉡ )등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규제하는 위험물은 인화성 또는 발화성을 가지는 것으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품이다. 즉 ㉠ 산화성, ㉡ 연소성과 같이 설명하면 않되며, ㉠ 인화성 ㉡ 발화성 등으로 설명해야 한다.
[ 보기 ] 휘발유, 경우, 중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휘발류, 경유, 중유는 제4류 위험물로, 대부분의 제4류 위험물은 주수소화가 불가능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제5류 위험물은 가연성으로 산소를 함유하여 자기연소하는 자기반응성 물질로, 연소 속도가 매우 빨라 소화가 곤란하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부도체 물질을 사용할 경우 대전이 쉽게 일어나므로 정전기에 의한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정전기에 의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전기기구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아 과부하를 방지합니다. ㉡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구는 전원을 차단하고 플러그를 뽑아 전기 누설을 예방합니다. ㉢ 과전류 차단장치나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이상 전류가 흐를 때 자동으로 전력을 차단합니다.
## [해설] * 11층 이상이고, 내장재가 불연재인 경우 바닥면적 500[m²]이내마다 구획해야 한다. * 방화구획의 단위 ㉠ 10 층 이하의 층 / 바닥면적 1000 [m²] 이내마다 구획 ㉡ 11 층 이상의 층 / 내장제가 불연재인 경우 → 바닥면적 500 [m²] 이내마다 구획 ㉢ 그 외의 경우 → 바닥면적 200 [m²] 이내마다 구획
## [해설] * ABC 분말소화기의주성분 : 제1안산암모늄(NH4H2PO4) * 소화효과, 질식효과, 부촉매효과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소방대상물 관계자 또는 자체소방대원이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건물 내에 설치하는 소화설비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옥내소화전설비는 건축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소방대상물 관계자 또는 자체소방대원이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소화하 수 있도록 건물 내에 설치하는 소화설비이다.
## [해설]] ⇒ *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피난기구에 해당하지 않는다.
## [해설] ⇒ * 완강기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해 자동적으로 내려올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피난가구는?
☞ [25년_에듀윌_[[ P162__ 23번 그림 참조 ]]
## [해설] * 피난 시 혼잡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의 유도등은 2선식 배선을 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방염처리 물품의 성능검사는 한국소방안전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부상자의 공포심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감을 찾도록 도와주며 체온유지를 위해 보온해준다.
* 어떠한 기술을 어느 정도까지 익혀야 하는가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 습득하여야 할 기술이 활동 전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인식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시 원칙 중 목적의 원칙에 대한 설명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의식이 없는 사람 중 비정상 호흡 또는 무호흡을 한다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 [25년_에듀윌_[[ P166_ 29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설계/개발은 "목표/전략 수립 → 실행계획 설계 및 개발" 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 [25년_에듀윌_[[ P167__ 30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그림은 피난구유도등을 나타낸다. 피난구유도등은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상 설치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선택밸브는 가스계소화설비에서 2개소 이상의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에 대해 소화약제 저장용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밸브이다.
※ [알기] [ 유도등의 3선식 배선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경우]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 * 사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는 때 *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 또는 전기실의 배전반에서 수동으로 점등하는 때 * 자동소화설비가 작동되는 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건물 내 일반 안내방송을 하는 때는 유도등의 3선식 배선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예비전원시험에서 전압계가 있는 경우 전압계의 정상 지시치는 19 ~ 29 [V] 이다
☞ [25년_에듀윌_[[ P169__ 34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예비전원시험 버튼을 누르지 않았으므로 예비전원시험은 진행하고 있지 않다.
☞ [25년_에듀윌_[[ P170__ 35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⑴, 화재 발생 시 화재발생층(2층)의 지구회로표시등은 점등된다. ⑵, 화재 발생 시 화재표시등은 점등된다. ⑶,화재신호가 발신기가 아닌감지기에 의해 수신되었으므로 점등되지 않는다. ⑷, 화재 신호가 수신되어도 스위치주의 표시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⑸, 감지기에 의해 화재신호가 수신기에서 수신되면 경종,싸이렌이 울린다. 따라서 주경종 표시등은 점멸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초기대응체계는 초기대응요원과 초기대응장비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대응요원은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장비의 운영과 소화, 피난유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초기대응체계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안전을 담당하며, 초기의 비상연락, 초기소화, 피난유도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초기대응체계는 상시 운영되어야 하는 체계이며, 일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초기대응체계의 구성을 옳지 않게 된 경우는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이 이용되는 기간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화재 대응 요령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방화문을 개방 상태로 두고 대피하는 것이다. 방화문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소를 막고 피난하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방화문을 개방 상태로 두면 화재가 더욱 빠르게 퍼질 수 있고, 연기와 열이 확산되어 피난로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시 방화문을 닫고 피난하는 것이 적절하다.
㉠ 노약자: 지병을 표시하고, 1인의 유도자를 지정하여 줄서서 피난한다. ㉡ 청각장애인 : 평소보다 더 큰 목소리로 피난을 유도한다. ㉢ 사각장애인 : 시각적인 전달을 위해 표정이나 제스처를 사용한다. ㉣ 지체장애인 : 2인 이상이 1조가 되어 피난을 보조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노약자:장애인에 준하는 피난보조를 실시한다. 노인은 지병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구조대가 알기 쉽게 지병을 표시하고, 1인의 유도자를 지정하여 줄서서 피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청각장애인 : 시각적인 전달을 위해 표정이나 제스처를 사용하고 조명을 적극 활용하며메모를 이용한 대화도 효과적이다. ㉢ 시각장애인 : 피난유도 시 여기, 저기 등 애매한 표현보다는 좌측 1[m], 왼쪽 2[m]와 같이 명확하게 표현하고 여러 명의 시각장애인이 동시에 대피하는 경우 서로 손을 잡고 질서 있게 피난토록 한다. ㉣ 지체장애인: 2인 이상이 1조가 되어 피난을 보조하고 장애 정도에 따라 보조기구를 적극 활용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시설등이 신설된 특정소방대상물은 60일 이내에 최초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점검 사항] * 예비전원시험 결과 예비전원감시등이 점등되었다. * 수신기의 스위치주의표시등이 점멸을 반복하고 있었다. * 수신기 도통시험 결과 정상이였다. * 계단실에는 연기감지기가 설치되어 있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예비전원시험 결과 예비전원감시등이 점등되어 있으므로 예비전원 성능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그래서 점등결과는 ×이다.
☞ [25년_에듀윌_[[ P174__ 41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주펌프를 수동으로 기동시키는 방법은 동력제어반의 주펌프 선택스우치를 수동으로 두고 주펌프 기동 버튼을 누르는 방법과 감시제어반의 선택스위치를 수동으로 두고 주펌프 스위치를 기동으로 두는 방법이 있다.
☞ [25년_에듀윌_[[ P175__ 42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감시제어반의 선택스위치가 수동에 있으므로 주펌프와 충압펌프는 모두 수동으로 작동하고 있다.
☞ [25년_에듀윌_[[ P176__ 43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가압수가 나오지 않는 경우는 계폐표시형 개폐밸브가 폐쇄된 경우다. * 체크밸브가 막힌 경우
㉠ 동작시험 및 자동복구 시험스위치 누름 ㉡ 경계구역별 동작버튼 누름 ㉢ 동작시험 및 자동복구 시험스위치 복구 ㉣ 화재표시등,각 지구(경계구역) 표시등 등의 정상 여부 확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P형 수신기의 동작시험 순서 " ① 동작(화재) 시험 및 자동복구 시험스위치를 누름 ② 각 경계구역별 동작버튼을 누른 후 시험. ③ 화재표시등, 각 지구(경계구역) 표시등, 기타 표시장치의 점등, 음향장치의 작동 확인, 감지기회로 또는 부속기기기 회로와의 연결접속 정상 여부 확인. ④ 동작시험 결과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회로는 즉시 수리. ⑤ 동작(화재)시험 및 자동복구 시험 스위치 초기(정상)상태로 복구 ⑥ 각 경계구역 표시등 및 화재표시등 소등 확인
☞ [25년_에듀윌_[[ P177__ 45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자동심장충격기의 부착 위치 * 오른쪽 빗장뼈( 쇄골 아래) * 왼쪽 젖꼭지 아래의 중간 겨드랑선
## [해설] * 대형소화기의 능력단위는 A급 10단위 이상, B급 20단위 이상이다.
## [해설] * 수원은 옥외소화전 설치 개수(2개 이상일 때에는 2개)에 7[m ³]을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옥외소화전이 3개 설치된 경우 2X7=14[m ³] 이상이어야 한다.
☞ [25년_에듀윌_[[ P179__48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화기 내용연수는 10년이므로 2025년11월까지 내용연수는 초과되지 않는다. ※ [오답 체크] ② 가압식 소화기는 폭팔 우려가 있으므로 폐기해야 하고, 축압식 소화기의 압력걔가 정상에 있으므로 정상이다. ③ 공실에 있는 축압식 소화계 압력계는 정상 압려계에 미달이므로 교체해야 한다. ④ 연면적이 33[m2]를 넘지 않는 경우, 소화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 구역에 소화기를 설치해도 무방하다.
## [해설] * 지시압력계의 색상이 적색인 경우 과압상태를 의미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옥내소하전설비의 방수압력은 0.17[MPa] 이상, 0.7[MPa] 이하이어야 한다.